전체기사보기
일본6대일간지 ㅣ 정치 ㅣ 경제 ㅣ 사회 ㅣ 문화 ㅣ 연예 ㅣ 그라비아 ㅣ 스포츠 ㅣ 역사 ㅣ 인물 ㅣ 국제 ㅣ 뉴스포토 ㅣ 뉴스포토2 ㅣ 동영상 ㅣ 동영상2 ㅣ 독자 게시판
섹션이미지
일본6대일간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연예
그라비아
스포츠
역사
인물
국제
뉴스포토
뉴스포토2
동영상
동영상2
독자 게시판
회사소개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광고/제휴 안내
사업제휴 안내
소액투자
기사제보
HOME > 뉴스 > 국제
글자 크게 글자 작게


日 언론, 김정일 방중 1면 탑으로 보도
요미우리 "곤궁 해결 위한 궁여지책", 아사히 "역경 타개 위한 방중"
 
박철현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3일 약 4년만에 중국을 방문했다.
 
요미우리, 아사히, 마이니치, 도쿄, 산케이 등 일본의 종합일간지는 김정일 위원장의 방중(訪中)을 1면 탑기사로 배치하고 분석기사를 싣는 등 오랜만에 모습을 드러낸 김 위원장의 일거수 일투족을 상세히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번 방중에 대해 "경제적 지원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라며 "천안함 사건도 관련있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외교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김 위원장은 북한에 투자하고 있는 기업들이 위치한 중국 북동부 최대도시 다렌(大連)을 방문한 후 베이징으로 이동해 후진타오 중국주석과 회담할 것으로 보이며 약 3, 4일 정도 체류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후진타오 주석과의 회담에서 데노미 실패, 춘궁기 돌입 등으로 인해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 현실을 설명한 후 지원을 요청할 것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 일본언론들은 김정일 위원장의 5번째 방중을 1면 탑으로 보도     ©jpnews/박철현
 
요미우리는 이번 방중을 급히 정해졌다며 김 위원장이 방중을 서두른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우선 후계체제로의 이행을 앞두고 파탄지경에 이른 북한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중국의 경제지원이 필수적이다. 또한 유엔안보리 제재로 인해 급격한 외자부족을 겪고 있는 김정일 위원장으로서는 이번 방중을 통해 통치자금을 조달해 군 및 당 간부들을 결속시켜 체제를 강고히 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 신문은 천안함 침몰도 방중을 서두르게 한 요인이라고 봤다.
 
"천안함 침몰 원인에 대해 한국군과 민간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이 5월말까지 그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북한의 어뢰공격으로 천안함이 침몰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조사결과를 통해 그것이 증명될 경우 한국과 미국이 유엔안보리에 북한제재 결의안을 상정할 것이므로 그 이전에 산적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중국정부 역시 북한의 소행으로 밝혀질 경우 제재에 동참하겠다는 뉘앙스의 발언을 했기 때문에 중국입장에서도 천안함 침몰 원인이 어떤 식으로든지 밝혀지기 이전에 김 위원장 방중을 원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아사히는 "김정일 위원장은 취임이래 중국을 5번째 방문하는 것"이라며 역대 방문 당시의 성과를 세세히 전달하는 등 이번 방중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김 위원장은 지난 10년간 2년에 한번꼴로 중국을 방문해 우호를 과시했지만 건강악화로 인해 06년 4월 이후 중국을 방문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중국방문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을 북한내에 도입해 왔다. 처음 중국을 방문한 00년 5월에는 강택민 주석과 회담한 후 컴퓨터 공장을 시찰해 이후 it관련 산업에 힘을 쏟았다.
 
01년 1월 두번째 방문시 김 위원장은 중국의 개혁, 개방 노선을 높이 평가한 후 바로 반도체 공장, 증권거래소 등을 시찰해 북한에 개방바람을 선도하기도 했다. 개성공단과 경의선 개통 등을 구상한 때와 정확히 일치한다.
 
04년 4월과 06년 1월 방문에서는 핵문제와 6자회담 복귀에 대해 본격적으로 상의했다. 북한이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선언한 것도 이 방중 이후에 나왔다. 역대 중국방문에서 보여지듯이 김 위원장의 중국방문은 단순한 방문이라고 보기 힘들다.
 
아사히도 이 점에 착목해 "대내외적으로 역경에 처해있는 북한이지만 이번 방중을 통해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고 전하면서 "2012년을 염두에 둔 방중"이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2012년은 고 김일성 국가주석의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다. 북한은 2012년을 강성대국의 대문을 열어젖히는 해라고 국민들에게 약속했다. 북한 조선사회과학원은 연간 식량생산량 600만톤, 발전능력 600만와트라는 구체적인 목표치까지 제시했다."
 
실제 지난 신년초하루 로동일보,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주요일간지들은 공동사설을 통해 올해를 '총공세의 해'로 설정했다. 총공세에 걸맞는 모양새를 갖추기 위해서는 절대우방국 중국의 도움은 필수요소다.
 
건강을 거의 회복한 것으로 보이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번 방중을 통해 어떤 열매를 맺을 것인지 모든 일본언론들이 주시하고 있다.


 

ⓒ 일본이 보인다! 일본전문뉴스 JP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입력: 2010/05/04 [13:01]  최종편집: ⓒ jpnews_co_kr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에효... 35366 10/05/04 [19:11]
남북이 사이가 좋았다면.. 저렇게 중국에 손 벌리는일은 않해도 됐을텐데..
명박이 같은 미친넘 때문에 민족이 망신이군... 수정 삭제
위에 무슨 소리 하세요? kizer 10/05/05 [01:08]
조중우호협력및 상호원조조약 이라고 모르시는감?

중국과 북한은 원래부터 혈맹이였음.

북한에게 돈퍼준 지난 정권이 바보였던거임.

깔꺼면 뭘좀 알고 논리적으로 까던가. 수정 삭제
위에 또 무슨 소리? 위에 10/05/05 [05:24]
그렇다고 '북한에게 돈 퍼준 지난 정권이 바보였다'니. 뜬금없기가 이만저만이 아니구려. 갑자기 그리 비약할 이유라도? 수정 삭제
어딜가나 좌빠 꼴통들이 문제군. 좌빠꼴통 10/05/06 [10:03]
민주투사는 니들의 전유물인줄 아는가? 진정한 우익들도 바로 민주투사다. 김정일이는 어찌됐건 인민이 굶어죽는데도 핵무기개발로 세계를 협박하고 호화사치생활에 3대세습을 꿈꾸고있는 겉만 사회주의인 봉건주의 사회다. 좋던 싫던 정기적으로 도발하고 무력으로 사건을 해결할려는 호전적인 놈인걸 왜 정치논리 따위로 부정하려 하는가? 촛불 좀비생활 너무 해서 뇌가 없어졌는가? 수정 삭제
그 이유는... kizer 10/05/06 [19:50]
교사들 중에도 좌빨 들이 넘쳐나는데 그 영향을 받는 학생들은 오죽 하겠습니까... 수정 삭제
결국 환상이었군. 10/05/12 [16:44]
과거 김대중 정권시절 햇볕 정책 그리고 노무현 정권의 대북정책들을 생각해보면 우리는 북한을 우리의 눈높이로 봤던 것 같다. 북한을 우리의 눈높이로 보지말고 우리가 북한수준으로 눈을 낮춰서 봤어야 하는건데. 우리가 아무리 지원하고 보듬아도 결국 그건 이용당하는 것 뿐인가. 차라리 북한에 대해서는 철저히 원칙을 세워서 거기에 맞춰서 대하고 한미 동맹을 철저히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유사시 대비를 위해 국군의 강화 정도가 타당해 보인다. 요새 중국과 북한을 보면 만약 통일이 된다고 해도 북한의 영토를 완전히 흡수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그렇다면 결국에는 중국과 우리의 땅따먹기인데 우리는 힘이 부족하니 미군의 개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한미 동맹을 철저히 강화시켜야 한다. 추신. 좌빨이니 이런말 쓰지마라 그리고 지역감정 발언하지마라. 한국에 대한 최소한의 애국심이 남아있다면 그러지마라. 이 나라가 분열되면 끝이다. 모두 끝장이야. 좌빨이니 수구꼴통이니 이런 말 쓰지말고 충분히 설명하고 토론할려고 노력해라. 한국 사람이라면 한국에 대한 최소한의 애국심을 보여라. 수정 삭제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김정일 관련기사목록
최근 인기기사
일본관련정보 A to Z
  회사소개회원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ㅣ 광고/제휴 안내사업제휴 안내소액투자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일본> (株) 文化空間 / (株) ジャポン 〒169-0072 東京都新宿区大久保 3-10-1 B1032号 
Tel: 81-3-6278-9905 Fax: 81-3-5272-0311 Mobile: 070-5519-9904
Copyright ⓒ JP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jpnews.kr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