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일본6대일간지 ㅣ 정치 ㅣ 경제 ㅣ 사회 ㅣ 문화 ㅣ 연예 ㅣ 그라비아 ㅣ 스포츠 ㅣ 역사 ㅣ 인물 ㅣ 국제 ㅣ 뉴스포토 ㅣ 뉴스포토2 ㅣ 동영상 ㅣ 동영상2 ㅣ 독자 게시판
섹션이미지
일본6대일간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연예
그라비아
스포츠
역사
인물
국제
뉴스포토
뉴스포토2
동영상
동영상2
독자 게시판
회사소개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광고/제휴 안내
사업제휴 안내
소액투자
기사제보
HOME > 뉴스 > 경제
글자 크게 글자 작게


'6중고' 일본기업, 구조개편의 벼랑끝에
日대표기업, 경영상 어려움으로 생존 위한 구조개편에 몰려
 
김쌍주 기자
일본의 대표적인 기업들이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생존을 위한 구조개편에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는 최근에 발간한 보고서 '최근 일본 산업계 동향 및 변화'를 통해, 일본의 주요 산업별 기업들의 구조 개편 현황을 소개하면서, 우리기업들의 대응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기업들은 내부적으로는 엔고, FTA지연, 높은 세율, 엄격한 노동규제, CO2 배출 25% 삭감, 전력부족의 6중고를 겪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후발개도국의 급부상과 중국에서의 일본상품 불매운동 등으로, 말 그대로 내우외환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상장기업의 2012년도 예상 경상이익은 전년대비 6% 증가에 머물 전망으로, 특히 파나소닉은 3,650억 엔, 샤프는 2,100억 엔의 경상손실이 예상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자동차업체 가운데, 중국에서 판매호조를 보이고 있는 닛산은 순이익이 증가했지만, 도요타, 혼다, 마츠다 등은 2011년 순이익이 감소했고, 특히 마츠다는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다.

또, 유럽의 재정위기 장기화, 중국 등 신흥국가들의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수입수요 감소가 기업의 수출실적에 영향을 미치면서, 일본기업의 경영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1년 일본의 무역수지는 31년 만에 적자로 전락했으며, 이같은 추세는 2012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일본 산업계는 각기 생존을 위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그 중 자동차업계는 신흥국가를 중심으로 해외진출과 해외생산을 확대하고, 해외부품 조달을 강화하는 등, 해외사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전략을 전환하면서 돌파구를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요타는 신흥국에서의 판매비중을 2015년까지 50% 수준으로 높인다는 목표 하에, ASEAN 거점인 태국내 생산능력을 67만대에서 2013년까지 76만대로 늘리고, 태국 디젤엔진 생산능력도 2015년까지 2배 규모인 연간 61만개로 늘린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닛산도, 2014년 가동을 목표로 태국에 연간 생산능력 15만 대 수준의 완성차 생산공장을 신설, 연간 총 37만대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춘다는 방침이라고 한다. 도요타와 닛산은 신흥국 전용 브랜드인 IMV, DATSUN을 각각 투입키로 한 바 있다.

또, 일본 완성차 메이커들은 엔고 상태에서 2011년 3월 대지진사태로 서플라이체인(부품 공급망)이 훼손되는 사태를 겪자, 한국을 비롯한 외국산 부품 조달을 강화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일례로 닛산의 경우, 부품 적재 트레일러를 환적 없이 한국에서 큐슈 공장까지 운송하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전기전자산업은 주요 기업들이 2011년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한 이래, 비핵심사업을 과감히 버리고 성장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구조 개혁에 한창이다.

도시바는 'TV사업부문 합리화'와 '신사업 강화'라는 전략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합리화 노력은 일본내 TV 생산을 중단하고, 해외 생산을 확대하는 것이 그 핵심. 이와 더불어 액정TV 모델수를 60% 축소하고, 조달대상 패널 종류도 54% 줄이는 한편, 금형의 공유를 통한 내부 비용절감 전략도 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신사업 강화전략은 하드웨어적 TV개념에서 TV + 인터넷 서비스가 결합된 Digital Product Solution이라는 신사업에 주력해, 2016년까지 2,000억 엔의 매출을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2011년 4,600억 엔이라는 최대 적자를 기록하면서, 일본 전자산업 추락의 상징이 되었던 소니는 올해 4월초 사장을 교체하고, 기존 디지털 이미징, 게임, 모바일이라는 3가지 중점분야에 내시경 등 의료분야를 추가, 4대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샤프도 TV 사업 부문을 포기하고 중소형 액정패널에 특화하는 등, 사업 구조조정을 대대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화학산업 구조개편의 핵심은 고부가가치 제품 집중과 해외진출 강화로 요약된다.

일본 화학산업은 1990년대 버블 붕괴이후 국내수요를 아시아 중심의 수출확대로 보완하며 성장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은 2000년 이후 신흥국 경쟁기업이 등장하면서 점차 먹혀들지 않게 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의 화학업계는 여타 후발 경쟁국에서 제조하기 어려운 전자재료, 의료기기 등의 고기능 제품에 집중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차별화된 최첨단 제품을 통해 신에츠화학공업, JSR 등은, 영업이익율이 10%가 넘는 높은 수익성을 자랑한다.

화학소재업종을 중심으로 해외진출도 가속화되고 있다. 신일본제철화학이 중국 장쑤성에 130억 엔을 투자해 카본블랙의 생산ㆍ판매 거점을 신설 중이고, 미쓰이화학도 태국 SCG케미컬즈사와 합작으로 총 14.5억 엔을 투자해 LLDPE 필름공장을 세울 계획이다.

KOTRA는 보고서에서 일본의 산업구조 개편과 관련해, 일본기업들의 부품소재 해외구매 확대 움직임을 새로운 수출 기회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일본기업의 해외진출 확대 추세를 첨단 부품소재기업에 대한 투자유치 기회로 삼으면서 제3국 공동 진출 등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할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KOTRA는 "중국 등 후발국들의 추격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어 한국도 언제 지금의 일본과 같은 상황에 처하게 될지 모른다. 신성장 분야를 육성해 미리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일본이 보인다! 일본전문뉴스 JP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입력: 2012/12/17 [08:45]  최종편집: ⓒ jpnews_co_kr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일본 경제 관련기사목록
  • 中진출 日기업, 정상화되다
  • 日수출 경쟁력 저하의 원인은 '한국'?
  • '6중고' 일본기업, 구조개편의 벼랑끝에
  • 日 '싸면 잘 팔리는 시대'는 갔다
  • '일장기 반도체' 엘피다 파산, 그 의미는
  • 파나소닉 최종적자 11조 원, 日제조업 사상 최대 적자
  • 도시바, IBM POS 단말기 사업 인수 나서
  • 日연구기관 "日 2050년엔 선진국 대열에서 탈락한다"
  • 소니, 연내 1만 명 인력 감축 나선다
  • 日기업도산, 3년 연속 감소했지만
  • 日 대지진 복구사업 중심으로 경기회복
  • 도시바, 엘피다 인수전에서 물러나
  • 유니클로 야나이 회장, 일본 최고의 부자로 꼽혀
  • '삼중고 탈피 추세' 日 2월 무역수지 5개월만에 흑자
  • 日 경기 회복 신호탄 울렸다?
  • 日야후 재팬 사장 퇴진 "SNS 사용한 적 없어서..."
  • 엘피다 메모리 주식, 3월 28일에 상장 폐지
  • "엘피다 경영파탄, 전략 미스로 韓에 패배"
  • 日세계3위 엘피다, 파산보호 신청
  • 구조조정 나선 파나소닉, 본사 팔아 경영 쇄신
  • 최근 인기기사
    일본관련정보 A to Z
      회사소개회원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ㅣ 광고/제휴 안내사업제휴 안내소액투자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한국> 주식회사 올제팬 서울 송파구 오금로 87 잠실 리시온 오피스텔 1424호 Tel: 070-8829-9907 Fax: 02-735-9905
    <일본> (株) 文化空間 / (株) ジャポン 〒169-0072 東京都新宿区大久保 3-10-1 B1032号 
    Tel: 81-3-6278-9905 Fax: 81-3-5272-0311 Mobile: 070-5519-9904
    Copyright ⓒ JP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jpnews.kr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