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변진일 ㅣ 김상하 ㅣ 정대성 ㅣ 최경국 ㅣ 홍유선
섹션이미지
구로다 후쿠미
변진일
유재순
김상하
시부이 테츠야
정대성
최경국
홍유선
회사소개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광고/제휴 안내
사업제휴 안내
소액투자
기사제보
HOME > 칼럼 > 변진일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자이니치(在日)가 일본에서 살아가는 법
고 김봉웅, 쓰카 고우헤이를 생각하며...일본과 한국, 재일동포
 
변진일 (코리아리포트
<가마타 행진곡>, <아타미 살인사건> 등 일본 내 반권력이나 사회적 약자를 소재로 한 작품을 다수 발표, 전후 연극계를 대표한 극작가, 연출가인 쓰카 고우헤이(본명 김봉웅) 씨가 10일 오전 10시 55분, 폐암으로 지바현 가모가와시 병원에서 눈을 감았다. 62세. 후쿠오카현 출신. 

제이피뉴스에 칼럼을 연재하고 있는 변진일 코리아리포트 편집장이 같은 재일동포로서 느낀 생각을 칼럼으로 써서 보내왔다.
 
작곡가, 쓰카 고우헤이(つかこうへい)씨가 세상을 떠났다. 일본에서 태어나 자랐고 김봉웅(金峰雄)이라는 이름에 같은 '자이니치(在日-재일동포를 일본에서는 이렇게 부른다:편집자 주)로서 또한 같은 나이였기 때문에 더욱 안타까운 느낌이 든다.

부음소식을 알게된 것은 어제(12일)였는데, 묘하게 같은 날 밤 소프트뱅크 사장 손정의 씨가 tv 도쿄의 '캄브리아궁전'이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해, '자이니치'였기 때문에 받았던 일본 내 '국적차별'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쓰카 씨는 후쿠오카 출신, 손 씨는 사가출신으로 같은 규슈사람이다.

쓰카 씨가 '자이니치'라는 것은 명작 가마타 행진곡(蒲田行進曲)이 1982년 세상에 나오기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물론, 이 영화에서 가자마 모리오(風間杜夫)씨와 같이 출연한 마쓰자카 게이코(松坂慶子)씨도 그랬다. '자이니치' 사회에서는 특유의 네트워크라고 해야할까, 자이니치만이 가지고 있는 수면하의 인맥이 있다.

일본 연예계 및 스포츠계, 때로는 고시엔(甲子園 : 일본 고교야구 선수권대회)의 출장선수까지 홋카이도 출신이건, 규슈출신이건 어디의 누구든지 정보가 회람판처럼 전해져오기 때문에 신기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스스로 출신을 결코 숨기는 일이 없었던 쓰카 씨는 1990년 에세이 '딸에게 말하는 조국'을 펴냈는데, 그 5년전에 한국을 처음으로 방문한 것이 에세이를 쓰게 된 동기가 된 듯 하다.

당시 인기가 있었기 때문에 자이니치출신임으로 밝혔다는 것만으로도 '그 쓰카 씨가...'라며 당시 커다란 화제를 불러왔는데, 에세이에는 손정의 씨처럼 '자이니치 2세'로서 겪어야 했던 괴로운 체험도 담겨 있었다.  
 
▲ 쓰카 고우헤이 부음을 알리는 기사     ©福井新聞

야자와 에이키치(矢沢永吉) 등과 함께 캐롤이라는 밴드를 결성, 일약 스타덤에 오른 죠니 오쿠라 씨를 만나 이야기를 들은 적도 있지만,  스타가 된지 4년째에 죠니 오쿠라 씨는 1975년 '자이니치'인 박운환임을 커밍아웃하자마자 인기가 급락했다고 한다. 그래도 그는 후회하지 않고 자기의 길을 갔고, 지금도 밴드와 함께 전국을 돌아다니며 한국 부산에서도 콘서트를 열고 있다고 하니, 정신적으로도 실로 강인하다고 밖에. 

필자는 지금부터 10년전 출판사가 도산하고 말았기 때문에 거의 서점에 놓일 기회가 없었던 '강자로서의 자이니치'라는 타이틀의 책을 펴낸 적이 있지만, 서문에 "자이니치는 핸디캡이 많았기 때문에 더욱 상승욕구가 강렬했다. 고무공에 압력을 가하면 가할 수록 반발도 강해지는데, 마찬가지로 사람도 밑바닥에 놓이면 놓일수록 반발심이 강해진다"라고 적었다. 그 때 모델로 삼은 사람이 쓰카 씨, 손정의 씨, 죠니 오쿠라 씨 등이었다. 

'자이니치' 중에서 통명(일본이름)이 없는 사람은 드물다. 90% 이상의 사람이 가지고 있다. 민단청년회가 십여년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본명을 쓰지 않고 통명만을 사용하는 사람이 78.2%라고 밝혀졌다. 이 숫자를 보면 일본 사회에서는 본명을 쓰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지금도 그럴 것이다.

손정의 씨와는 몇 번인가 만났고, 또 소학관 일로 대담을 한 적도 있지만, 그는 일본에 귀화할 때도 부모의 성을 버리는 것을 거부했다. 통명인 '야스모토(安本)라고 하지 않고 일본인 부인의 성을 쓰는 것도 거부, '손(孫)'이라는 성을 고집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 그는 "자신의 본명을 버리면서까지, 또 자신의 과거의 역사적 정체성을 버리면서까지, 일본국적을 따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 후 한국을 방문해, 어느 강연 자리에서 "나는 혼합된 문화에서 성장했다. 지금, 일본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지만, 소프트뱅크를 설립하기 전에는 미국에서 작은 사업을 했었다. 지금도 미국에 많은 친구가 있다. 그리고 가족과 선조도 한국인이다. 나는 100% 코리안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사장     ©jpnews/山本宏樹

그러고 보니, 역시 쓰카씨와 같은 규슈(오이타) 출신의 가수 니시키노 아키라(錦野亘)가 저서 '마지막 프로포즈'에 썼던 내용이 떠올랐다.

"내 몸 속에 흐르고 있는 것은 틀림없이 한국인 피이지만, 나 자신은 태어났을 때부터 일본인으로서 자랐고, 한국인을 자신을 의식한 적이 없었다. 가끔 느낀 것은 할머니 집에 갔을 때 늘 김치를 담갔던 것이나 친척 어른들이 일본어가 아닌 말을 쓰고 있었다는 것이다."
 
"다만, 국적과 별개로, 때때로 내 안에 한국인 피가 흐르고 있다는 것을 실감할 때가 있다. 태어났을 때부터 가진 내 생김새가 한국인이고, 내 피를  이어받은 딸들의 스타일을 봐도 그런 생각이 강하게 든다. 사람을 접하는 방식에 관해서도 일본인과는 다른 감각이 있어 그것이 어느새부터인가 내 안에 자연스럽게 생겨나, 자라났다. 예를 들면 윗사람에 대해 경의를 가지고 대한다거나, 조금이라도 상대가 나이가 많으면 그 사람 앞에서 담배피는 것은 실례라고 생각해 망설이고 만다. 친구에 대해서도 '차라도 한 잔'이라는 일본인식 접대 보다는 '밥 먹고 가라'라는 제안을 좋아한다." 


"나는 일본인이면서도 흐르는 피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싶다. 그것이 사람으로서 당연한 것이고, 그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살고 있다"라고.

쓰카 고우헤이 씨, 아니 김봉웅 씨는 딸에게 자기가 죽으면 자신의 뿌리인 한국과 자신이 자란 일본 간에 있는 대한해협(쓰시마해협)에 뼈를 뿌려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자이니치 2세다운 비애가 느껴진다. 합장.
 

 

ⓒ 일본이 보인다! 일본전문뉴스 JP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입력: 2010/07/13 [14:24]  최종편집: ⓒ jpnews_co_kr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다 좋은 얘기이지만.. 문화인 10/07/13 [21:55]
문화적인 차이를 인종적인 차이까지 비약하는 것은 조심을 할 필요가 있음..100% 한국인, 100% 일본인이라고 구분하기에는 지리적으로도 역사적으로도 너무 가깝다는 느낌이..옛날 삼국시대때 이런저런 사정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자이니치'들이 일본인이 된 것인데.. 수정 삭제
예전에 읽었던 つかこうへい의 책이 생각나네요... 10/07/13 [21:58]
제가 일본어 보다 한국어에 친근감을 더 느끼기 때문에 일본어로 된 책은 1번 이상 읽는 일이 없는데 김봉웅씨가 쓴 자전적 이야기 (제목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生きる理由였던 것 같습니다)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저도 외국에서 자라 제 정체성에 대해 고민이 많았는데 그 책을 읽으면서 마음을 가담았던 기억이 나네요. 일본에서 꿋꿋하게 자신의 정체를 잃지 않고 사는 자이니치 코레안들....왜 그럴까? 그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많이 해 보았습니다. 내가 만약 그 시대에 일본에 건너가서 살았으면 귀화를 했을까 조선국적을 선택했을까 한국국적을 선택을 했을까 생각을 했습니다. 아마, 정신은 조선국적을 선택하고 싶어하지만 지금과 같이 실리를 추구하는 삶을 사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게 성장을 한다면 아마 귀화를 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저는 재일 외국인 특히 1945년 이전에 일본에 이주한 분들과 그분들의 분신인 2세 3세에 관심이 많으니 앞으로도 많으 글 부탁드립니다.


수정 삭제
교포분들 힘내세요 재일교포화이팅 10/07/14 [00:10]
일본이라는 땅에서 교포로 산다는게 얼마나 힘든건지 몰랐습니다...
이 거지같은나라는...잘 관심도 없구요.......
2007년에 한 프로를 보고 교포들의 모습을 알게되었고 우리학교라는 영화도 보았지요 요즘 많은 교포분들이 일본으로 귀화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같아도 그럴수도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조국은 반겨주지 않고 아껴주지않고
일본은 조센징이라며 차별하는데.......설자리가 없는 일본교포들의 삶이 얼마나 힘들었을까요....잡초는 짖밟혀도 쓰러지지않고 더 튼튼히 자란다고 해요.
많은 역경과 고난과 시련이 있지만 그래도 열심히 살아주세요
이 도움이 못되는 못난 조국을 잊지않고 그래도 가슴속에 담아줘서 고마워요 수정 삭제
너무 마음이 아프네요 안나 10/07/14 [09:28]
저도 1년 동안 일본에서 살 기회가 있었는데 그 때 재일교포들에 대해 처음으로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한국에 살 때는 재일교포의 문제에 대해 생각할 일이 없었어요. 뼈를 대한해협에 뿌려달라는 마지막 말씀이 너무 아프네요. 분리와 차별이 없는 곳을 벗어나 좋은 곳으로 가셨을 겁니다. 수정 삭제
그나물에 그밥인 두 나라 것만. 히마와리 10/08/08 [21:19]
이 나라 저 나라 댕겨보면, 한국이랑 일본 그나물에 그밥이란 생각 참 많이 듭니다.
요새 우리나라가 부강해지고 상대적으로 일본이 쪼그라 들면서 경제적으로 사는 꼴이 비슷해져서인 측면도 무시못하지만.
같은 동양이라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만 가봐도, 한일은 분명 외국은 외국이지만, 참 많이도 닮아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 3국에서 제 3자의 시선을 가지고 양국을 바라보면, 사이좋아(?) 보이기 까기 했던 감성적 경험이 있습니다.

인간도 한낱 동물일 뿐이고, 인간이란 동물의 습성 중에 내 집단 외 집단을 갈라
배척하고 다투려는 강한 본능이 있으므로,
양국민이 좀 더 넓은 세계를 볼 수 밖에 없는 지금은
서로서로 내집단이 되어 가까워질 수 밖에 없는 필연이고 인연이란 생각이 드네요.

제 아무리 바꾸려 해도 도도히 흐르는 대세는 손에 잡히지 않지만,
물길이 바뀌면 붙잡아 두려고 해도 움직이는게 역사라 생각합니다.

선조님들, 어려운 시기에 그간 고생 많으셨습니다.

시대가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수정 삭제
재중동포와 재일 동포... 봉건 일본 10/09/05 [19:15]
글쎄 ....조선족 한국인과 재일 동포의 공통점....조국이 신경을 써 주지 않았다...일견 옳은 말일지도 모릅니다..허나 40대인 나 어렸을깨도 한국에선 우리에 2끼씩 먹는 집이 엄청 많았으며..고기를 일년에 두번 정도 밖에 못 먹는 어려운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재중동포와 제일 동포를 도울 여력이 없었습니다...어쨌든 저는 중국인이 된 조선족보단 재일 동포들의 애환과 고국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이 있는 재일동포를 사랑하고 존경하고 있습니다 ,,,굉장히 고생하셨습니다..고맙습니다.. 수정 삭제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연재소개 전체목록
1947년 도쿄에서 태어남. 메이지가쿠인대학 영문과 졸업후 신문기자(10년)를 거쳐 이후 프리랜서 저널리스트.
1980년 북한 취재 방문.
1982년 한반도 문제 전문지 '코리아 리포트' 창간. 현재 편집장.
1985년 '고베 유니버시아드'에서 남북공동응원단 결성, 통일응원기 제작.
1992년 한국 취재 개시 (이후 20회에 걸쳐 한국방문).
1997년 김영삼 대통령 인터뷰
1998년 단파 라디오 "아시아 뉴스" 퍼스낼리티.
1999년 참의원 조선문제 조사회 참고인.
2003년 해상보안청 정책 어드바이서.
2003년 오키나와 대학 객원교수.
2006년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인터뷰

현재 "코리아 리포트" 편집장, 일본 펜클럽 회원.
니혼TV, 후지TV 등 북한전문평론가, 코멘테이터로 활약중.
장성택 실각 배경에 북한군 원로 그룹 있다
북한 핵실험 날짜의 비밀
물밑에서 움직이기 시작한 6자회담국
北김정은 체제에 있어 가장 큰 위협은?
김정일은 어디서 죽었나?
中선원 해경살해, 일어날 일이었다
북한과 미국, 어느 쪽이 먼저 양보할까?
北이 던진 'NO', 美 어떻게 대응할까?
한일 FTA 진전되지 못하는 이유?
북핵문제, 새로운 움직임이!
냉랭한 북일관계, 변화의 조짐 보인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오바마? 김정일?
한국 송환 탈북자 9명, 어떤과정 거치나
북중러의 나선 개발 현황은?
6자회담 재개, 관건은 '우라늄 농축' 문제
탈북자는 남북통일의 리트머스종이다
탈북자의 일본 망명, 이제 시작이다
미국의 '대기전술'을 역이용하는 북한
라이스 방북 계획은 역시 존재했다
[북러정상회담] 다음은 남북정상회담?
최근 인기기사
일본관련정보 A to Z
  회사소개회원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ㅣ 광고/제휴 안내사업제휴 안내소액투자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한국> 주식회사 올제팬 서울 송파구 오금로 87 잠실 리시온 오피스텔 1424호 Tel: 070-8829-9907 Fax: 02-735-9905
<일본> (株) 文化空間 / (株) ジャポン 〒169-0072 東京都新宿区大久保 3-10-1 B1032号 
Tel: 81-3-6278-9905 Fax: 81-3-5272-0311 Mobile: 070-5519-9904
Copyright ⓒ JP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jpnews.kr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