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도쿄 한국 문화원에서는 한일 양국을 대표하는 아나운서가 출연해 서로의 '말'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토크쇼를 가졌다.
한국 측 대표는 kbs 20년차 임수민 아나운서, nhk에서는 1972년부터 활동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언어 아저씨'라는 닉네임으로 바른 일본어 전파역할을 맡고 있는 우매즈 마사키 아나운서가 등장했다.
두 사람은 각 방송국에서 받는 아나운서 트레이닝 내용부터, 방송 금지어, 방언, 북한어 문제에 이르기까지 각자의 시선으로 뜨거운 토론을 했다.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가고 있는 언어를 아나운서로서, 방송을 통해 어떻게 처리해야할 것인가 진지한 논의도 있었다.
토크쇼 내용 중에서 흥미로웠던 것은, 양국 국민들이 양국의 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한 리서치였다.
도쿄 신오쿠보에서 만난 일본인에게 알고 있는 한국말을 물어보자, "안녕하세요", "사랑해요", "맛있어요", "감사합니다"가 가장 많이 나왔고 몇 명이 "여보세요" "여기요" "어머니"라는 말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도쿄 신오쿠보는 도쿄 안에서도 가장 유명한 한인타운으로 한류에 관심있는 일본인들의 성지가 되어있기 때문에, 실제 일본인은 이것보다 훨씬 한국어를 잘 모른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일본인이 가장 많이 찾는 관광지로 알려진 서울 명동에서 리서치를 실시했다. 20대 젊은이부터 40~50대 중년층까지 다양한 연령대에게 '알고 있는 일본어를 말해달라'고 하자 일본보다 훨씬 다양한 표현이 나왔다.
"하지메마시테(처음 뵙겠습니다)" "곤니치와, 곤방와(인사)" "아이시테루(사랑해)""오이시이(맛있어)" "아리가토(고마워요)" "스미마셍(미안해요)"등 기초회화가 가장 많이 나왔고, 그 중에서는 "나와바리" "다쿠앙" "덴푸라" "스시" "기모노" "벤토" "히조니(대단히)" "아카지(적자)" 등 음식명부터 경제용어까지 다양한 수준의 단어가 튀어나와 객석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한국인이 알고 있는 일본어
임수민 아나운서는 "방송에는 안 나왔지만, 한국인은 훨씬 더 많은 일본어를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 일본어인지도 모르고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세대간의 차이가 큰 것도 특징인데, 어른들은 일제시대 잔재가 남아 이빠이, 만땅, 오봉, 단스 같은 생활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젊은이들은 인기있는 일본 음식, 책, 영화, 게임을 통해 일본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영화 '러브레터'가 흥행했을 때는 '오겡키데스카(잘 지내나요)'라는 말이 유행했고, 한국영화 '친구' 개봉당시에는 '내가 니 시다바리가'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다. 젊은이들의 일본어는 이렇게 문화를 통해 영향을 받는 것이 특징이다"라고 분석했다.
관심있게 듣고 있던 우매즈 아나운서는 "시다바리라는 말은 일본에는 없고, '시탓파(막내라는 뜻)' 혹은 '시타지(안에 바르는 종이)'라는 일본어가 변형해서 쓰이고 있는 것 같다"고 조언, 임수민 아나운서를 깜짝 놀라게 했다. 그 밖에도 젊은 층이 종종 사용하는 '쿠사리(면박, 구박)'라는 말도 일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말이라고 밝혔다.
노래방 애창곡을 뜻하는 '18번'은 일본어가 그대로 전해진 것으로 유명하다. 일본 전통공연 가부키에서 크게 성공했던 18가지 기예를 '가부키 광언 십팔번'으로 부르면서 이것이 그대로 한국에 들어와 '단골 노래' 즉 애창곡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
임수민 아나운서는 "방송에서는 일본어 사용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18번이라는 말 대신 애창곡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워낙 널리 퍼져있는 말이라 친근감 유도를 위해 라디오 청취자와 대화할 때 자연스럽게 18번을 쓰기도 한다"고 말해 방송인의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양국 아나운서가 대단히 관심있게 살펴본 말은 한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쓰는 '간지' '간지남'이라는 말이었다. 간지는 일본어로도 그대로 '간지(感じ)'라고 발음하며 수식어와 함께 좋은 느낌, 분위기라는 말로 쓰이는데, 이것이 한국으로 건너가 '감각있고 세련된'이라는 말로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
우매즈 아나운서는 "그럼 멋있다는 말과 간지난다는 말은 어떻게 다른가"라는 소박한 질문을 했고, 임수민 아나운서는 "우매즈 상은 원래 '멋있는'데 오늘 특히 옷이 너무 세련되고 잘 어울린다고 하면 '간지난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해 이해를 도왔다.
시청자들이 느끼는 일본어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기니나루고토바'라는 코너를 2003년부터 매일 진행하고 있는 우매즈 아나운서는 "말이라는 것은 세월과 함께 변하기 때문에 꼭 어느 쪽이 정답이라고 강하게 말할 수 없다"는 고민을 털어놓기도 했다.
이에 임수민 아나운서는 "물론, 말은 변하는 것이지만 방송의 역할, 아나운서의 역할은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바른말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말도 맞고, 저 말도 맞다는 말은 시청자들에게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방향 제시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아나운서로서의 확고한 신념을 밝히기도 했다.
또한 임아나운서는 "일본 tv를 보면서 외래어를 많이 쓰는 것에 놀랐다. 물론 정보 속도가 빠른만큼 말이 못 따라가는 것이 현실이지만, 외래어를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말이 주인이라는 주체성을 가지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을 말해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한편, 이 날 토크쇼에는 약 200여 명의 관객이 참석, 메모를 해가며 열심히 듣는 모습이었고, 토크쇼 마지막으로 두 아나운서에 대한 질문시간에는 "한국어 억양이 변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남북통일 후 언어문제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나" 등 심도있는 질문이 쏟아졌다.
임아나운서는 "동음이의어를 장단음으로 구별하고 있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장단음 구별을 어려워한다. 또한 '~했는데요'라는 식으로 말 끝을 올리는 경향도 있는데 이런 점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북한 언어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협의가 되고 있지 않다"며 변화하는 시대에 대한 여러가지 문제가 존재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약 두 시간의 토크쇼를 마친 후, 관객들은 "일본어, 한국어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아나운서는 그저 전달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했는데,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고 고뇌하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었다""점점 가까워지고 있는 양국관계에 앞으로도 이런 행사가 자주 열렸으면 좋겠다"고 평가했다.
경상도 지역에선 굉장히 다양한 일본단어들을 그 지역적인 색깔로 바꾸어서 굉장히 많이 사용하더군요. 제가 해병대에서 복무했는데 경상도식으로 변형된 일본단어들이 난무해서 그것을 전부 외워서 사용해야해서 고생 많이 했었죠...
역사적 배경 때문이겠죠.
6666
10/10/16 [16:42]
아무래도 식민지 시절 일본과의 거래가 많았던 지역이다 보니 교역관련된 일을 하신분들이 많았을테고 그 영향으로 한국어에 일본어가 썩이면서 변현된 일본식 한국어가 나오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부산으로 부터 북쪽으로 올라갈 수록 그 사용량은 많이 줄어드는데 대구에 살고 있는 저도 어르신들이 꽤 많은 일본식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 때문에 못알아 들을 경우도 있죠. 하지만 요즘 젊은이들 은 그런 단어를 모르니 많이 쇠퇴해 가는 듯 하네요.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 거죠.
경상도에 특히 부산에 일본어 사용량이 많다라....
위에두사람
10/10/16 [19:39]
부산과 일본 간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일본어를 접할 기회가 많다는 건 알지만..그럼 인천에는 중국하고 왕래가 많은데 인천지역에는 중국어 많이 씁니까..ㅋㅋㅋ
일본은 서양에서 각종 기술서를 일본어로 번역해서 썼고, 우리는 광복 이후에 그 일본어로 된 번역서를 우리말로 번역해서 쓰거나, 당시 지식인들은 대분부 일본어를 했기 때문에 특별히 번역할 필요 없이 사용 한거죠...그리고 딱히 지식층이 아니라고 해도 광복 후 당시 젊은 층도 일본어는 거의 다 했다는...우리 할머니도 80이 넘으셨어도 당시 소학교에서 배운 일본어 아직도 알고 계시다는...
그리고 현재는 작업현장에서 쓰는 일본식 명칭들을 순화하라고 했더니,,전부 영어로 바뀌고 있고요....ㅋㅋㅋ그리고 몇 몇 글자 보면 일본어와 우리말에 경계가 모호하다는.....배고쁘 배고쁘,,,,난 이말이 재일 재밌어요....ㅎㅎㅎㅎ
"야마가 돈다"..
문화인
10/10/17 [01:16]
우리가 화가 났을때 자주 쓰는 이 말도 어원을 파고 들어가 보면 "야마", 즉 나사산이 뭉개져서 나사가 제대로 맞아 들어가지 않고 헛돈다는 일본어에서 유래를 했지요. 일본에서 이런 의미로 쓰는 표현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어는 어휘도 많고..
문화인
10/10/17 [01:53]
표현도 풍부하고 다 좋은데 다만 모음이 부족함에도 (예를 들자면 한국어와 비교하면 이중모음은 거의 없다시피 하지요) 불구하고 그 많은 어휘를 뚜렷하게 구별해서 쓰는게 정말 놀라울 뿐임.물론 한국어와 비교하면 절대부족인 자음의 갯수도 훌륭하게 극복하는 것도 대단하고..
일본어는 아주 심한 불구어이다!....
음
10/10/17 [11:47]
고대 한반도에서 유래한 일본어는 소리나 글자에 있어서 자유롭지못한 아주 않좋은 언어다!......
경상도말은 잘 들어보면...
초이
10/10/17 [17:22]
사투리의 성조가...일본어 성조와 매우 닮았음. 늘 궁금한건데 역사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백제가 일본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째서 신라의 억양이 일어와 더 비슷한건지 그냥 우연히 닮은것인지..?
우연히 닮았다고 하기에는..
문화인
10/10/17 [20:52]
너무 닮은 것 같네요. 예를 들면 일본어의 의문문인 "...노?"는 억양은 물론 형태까지 100% 경상도 사투리의 복사판이지요. "밥 묵었노?", "잘 잤노?"..하지만 왜 백제어를 제치고 신라어가 일본어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는지는 전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