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다큐멘터리 영화 '오리새끼'를 감상했습니다.
감독 오노 사야카가 자신을 찾는 여행을 떠납니다. 그 여행을 통해 지금의 '추한' 나를 만든 원인인 가족을 해체하고 다시 재구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요.
종교적인 신념과 엄격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부모. 성적학대를 되풀이하는 큰 오빠. 자유분방한 동생. 그나마 가장 안심할 수 있는 둘째 오빠.
그 가족 한 사람 한 사람이 스스로를 찾기 위해서 싸웁니다. 다섯 살 때 1년간 부모곁을 떠나 '야마기시 모임' 유년부에서 생활했던 오노는 "부모에게 버려졌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녀는 이 '생각'이 정당한 것인지 아닌지 당시 동급생들을 찾아가 과거 자신의 기억을 떠올려가며 취재를 해 갑니다.
야마기시 모임의 목적은 '사람들 모두가 정말 행복해질 수 있는 사회만들기'입니다. 농업 및 축산업을 기반으로 한 야마기시 공동체에서 생활하면서 돈이 필요없는 사회를 실현해 가는 것이지요.
여기엔 학교도 있습니다. 다섯 살이 되면 부모 곁을 떠나 1년간 유년부에서 생활합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에 등장하는 코뮨 단체가 이 야마기시 모임을 본딴 것이 아니냐는 말까지 있지요.
이 영화를 보면서 저는 1998년에 발표된 "파더레스 - 아버지 없는 시대"를 떠올렸습니다.
시게노 요시야가 연출을 맡았고 무라이시 마사야가 기획・주연을 맡은 작품이지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맺기에 힘들어하는 무라이시가 과거의 자신, 그리고 가족들과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다룬 다큐멘터리입니다.
이 안에는 이혼한 양친, 분방한 모친, 계부와의 갈등, 집단따돌림, 등교거부, 가출, 빈곤 등 수많은 테마가 등장합니다. '오리새끼'와의 공통점을 들라면 자신의 트라우마를 만든 이, 즉 '가족'과 어떻게 생활하는지 카메라 앞에서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겠지요.
'파더레스'에서 '오리새끼'까지 12년이 흘렀습니다. 그 동안 일본 가족은 변했을까요?
후생노동성에 의하면, 아동상담소가 집계한 '학대' 상담 건수는 18년 연속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07년도에는 4만건을 돌파했고 08년도에는 4만 2664건으로 나왔습니다.
'파더레스'가 발표된 98년의 6932건과 비교해 본다면 10년만에 6배가 된 셈입니다. 가족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수치로 드러난 것이지요.
또한 98년은 연간 자살자 수가 처음으로 3만명을 초과한 해입니다. 자살자 수는 98년부터 2009년까지 12년 연속으로 3만명 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보통 일본에서는 실업율과 자살율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실업으로 인해 경제기반이 무너지면 가족이 붕괴되고 그것이 자살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또한 가족 및 기업 복지에 의지해 온 일본식 복지가 얼마나 빈약한 시스템에 기반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98년은 제가 다니던 신문사를 관두고 프리랜서 활동을 시작한 해이기도 합니다. 자살욕구, 자해행위, 원조교제, 가출 등의 테마를 주로 다루면서 많은 젊은이들을 만났습니다.
저는 이때 "살기 어려움"(生きづらさ)라는 키워드를 찾아 냈습니다. 당시만 하더라도 이 키워드를 말하면 무슨 말인지 몰라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저역시 설명하느라 고생했습니다만, 지금은 설명이 불필요할 정도로 많은 이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힘든 상황에 빠져 있다는 말이겠지요.
'오리새끼'는 5월 22일부터 포레포레히가시나카노(ポレポレ東中野)에서 4주동안 상영됩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다시 한번 일과 가족, 친구 등을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